webnovel

'저출산' 늪 빠진 일본 사립대…25% '만성적자'

지난 2020년 일본 게이오대와 도쿄치대가 저출산 대응 차원에서 2023년 4월을 목표로 합병을 추진한다는 내용의 보도. [사진=NHK 홈페이지 캡처]저출산으로 인한 학생수 감소로 일본 사립대학의 약 25%가 만성 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년간 대학수는 급증한데 반해, 청소년 인구는 급감해 적자인 학교의 70%가 정원미달 사태를 겪고 있다.

18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일본 전국 572개 사립 대학 법인의 결산정보를 집계해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 연속 적자인 곳은 139곳으로 전체 4분의 1에 달했고 15곳은 부채가 운용자산 규모를 초과했다. 치바현내 한 사립대학은 2020년도 지출이 120억엔에 달했지만 학생정원 충족률이 70%에 그쳐 수입은 100억엔에 머물렀다.

일본 사립대학 재무상태는 2020년부터 공개가 의무화됐다.

일본 사립대학 숫자는 신설규제가 완화된 1990년대 이후 지금까지 약 240개교가 늘어났다. 대학 진학률 상승에 발맞춰 학생정원 수도 늘어났지만 18세 인구는 20년새 40만명 가까이 줄어들었다.

일본 사립학교 진흥·공제사업단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사립대학의 46%가 입학생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2010년 이후 폐교 신고를 한 일본 사립대 법인 숫자도 20개가 넘었다. 일본 정부는 사립대 운영에 연간 3000억엔 가량의 지원금을 투입해 왔다.

저출산으로 대학 수입원은 줄어드는데 반해 자금 수요는 더 커지고 있다. 글로벌화, 디지털화 등 시대에 부응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투자의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일부 대학에서는 경영난 타개를 위해 인근 타대학과 수업을 공유하거나 소모품 등을 함께 조달해 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닛케이는 학부재편등 뼈를 깎는 개혁노력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문부과학성 등 교육당국도 대학에 경영 전문가를 파견하는 등 대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일본의 18세 인구는 향후 10년마다 10만명 이상씩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닛케이는 대학의 재정 건전화는 각 학교 차원의 대응만으로는 역부족으로 정부와 학계가 연계해 대학교육의 틀을 다시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신윤재 기자(shishis111@mk.co.kr)

기자 프로필

구독

신윤재 기자구독자 4,762 응원수 2,129

더 넓은 세상의 흥미로운 소식을 전하고자 합니다.

물가 오르니…자녀1인당 50만원씩 뿌린다는 일본

G20 대변인에 외교 경험 없는 27세 여가수 임명…인도네시아 시끌

Copyright ⓒ 매일경제.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